트렌드13 2024뷰티헬스마케팅트렌드(#한강드론쇼#도파밍) 1. 서울 한강 드론쇼 일정 공개! 이번주 4월 27일(토)을 시작으로 2024 한강 불빛 공연(드론 라이트쇼)이 열린다. 기간 : 4월 27일(토)~6월1일(토) 위치 : 잠실, 뚝섬한강공원 프로그램 : 문화 예술 공연 (19시~20시) / 드론 라이트 쇼 (20시~20시 15분) - 1회 차 : 4/27(토) / 잠실한강공원 - 2회 차 : 5/6(월) / 잠실한강공원 - 3회 차 : 5/11(토) / 잠실한강공원 - 4회 차 : 5/18(토) / 잠실한강공원 - 5회 차 : 6/1 (토) / 뚝섬한강공원 우천, 강풍 등 기상상황에 따라 공연이 지연 또는 취소될 수 있음. 행사 당일 교통 혼잡이 예상되므로 대중교통 이용을 추천! 2024 한강 불빛 공연(드론 라이트 쇼) 한강 밤하늘에 펼쳐지는 1,0.. 2024. 4. 23. 2024뷰티헬스마케팅트렌드(#뷰티테크, 스키니멀리즘, 홈뷰티, 슬로우에이징, 지속가능성) 1. 삼일 PwC, 2024 화장품 트렌드 분석 삼일PwC 경영연구원이 지난 4월 9일 'K-뷰티 산업의 변화' 보고서를 통해 2024년 화장품 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2024년 화장품 산업 트렌드로 - 뷰티테크(Smart Beauty) - 홈 뷰티 디바이스(Self Care) - 스키니멀리즘(Skinimalism) - 스킨케어와 기능성 화장품(Slow Aging) - 클린 뷰티와 지속가능성 뷰티(Sustainablility) - 떠오르는 마케팅/유통채널, SNS(Social Marketing) 등 6S로 제시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삼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K-뷰티 산업의 변화 : 삼일회계법인 (pwc.com) K-뷰티 산업의 변화 삼일PwC경영연구원은 변화하는 화장품 .. 2024. 4. 11. 2024뷰티헬스마케팅트렌드(#플랫폼업계#중소뷰티기업) 1. 플랫폼 업계 '영상 꾸미기' 경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진행한 '2023 디지털 크리에이터미디어 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종사하는 유튜브 창작자 등 디지털 콘텐츠 창작자가 3만 5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제작 콘텐츠는 주로 '유튜브(70.1%) 플랫폼을 통해 유통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인스타그램(16.5%), 페이스북(5.7%), 네이버 TV(4.6%) 등의 플랫폼을 이용했다. 이는 누구나 쉽게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기 대문이다. 동영상 플랫폼 업계는 발빠르게 콘텐츠 제작 툴을 업데이트하고 있는 중이다. 하이퍼커넥트의 소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하쿠나 라이브'는 라이브 영상에 보정 효과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뷰티 필터' 기능을 강화.. 2024. 4. 2. 2024뷰티헬스마케팅트렌드(#PB건기식#식음료콜라보) 1. PB 건기식 인기 물가가 오르면서 유통업계 대세로 떠오른 자체브랜드(PB) 열풍이 건강기능식품으로도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장바구니 부담이 커지면서 생활필수품이 아닌 건기식을 선택할 때도 가성비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 PB는 자체 브랜드를 의미하는 Private Brand의 약자다. 보통 대형마트, 편의점 등 유통업체가 상품을 타 업체에서 매입하지 않고, 전문 제조사에 위탁 생산을 맡긴 뒤 직접 브랜드를 달고 판매하는 상품으로, 유통구조가 단순해져 품질 한 비슷한 상품에 대해 낮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과거 동아, 대웅 등 유명 국내 제약사들이 휩쓸었던 국내 건기식 시장은 해외직구(아이허브 등)의 등장으로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형성된 바 있다. 이러한 건기식 시장에 품질과 가성비를 동시에 충족.. 2024. 3. 28. 2024뷰티헬스마케팅트렌드(#뷰티시장경쟁치열#네이버블로그상승세) 1. 뷰티시장, 온오프라인 경쟁 치열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0조 2801원으로 1년 전 대비 12.1% 증가했다. 이중 화장품은 21.2% 증가한 1조 1213억 원. 화장품 온라인 쇼핑 거래액중 77%는 모바일에서 발생했다. 화장품은 다른 상품군과 달리 모바일 거래액의 증가율 및 비중이 큰 편이다. 이는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을 통한 화장품 구매 경험이 늘어난 동시에, 소셜 미디어 및 자체 앱 내 사용 후기들이 쌓이면서 굳이 화장품을 발라보지 않아도 안심하고 모바일거래를 하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뷰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올리브영, 뷰티컬리, 쿠팡 등 플랫폼 간 경쟁도 치열해졌다. 특히 쿠팡은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유명 브랜드 상품을 스피디하게 배.. 2024. 3. 2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