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ROhpn/btsFD6tkgY9/zvbiaYqppEWGxkkDX5PpOk/img.png)
과일값이 32년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고 한다.
정말 요새는 장을 보는 것이 무서울 정도다.
아이를 위해 좋은 과일을 구입하고 싶지만 과일값이 금값이니 가격을 하나하나 체크하고 구매 할 수 밖에 없는 상황..
맛 좋은 과일을 구매하더라도 나와 남편이 먹는 양은 구매양의 10%도 안된다.
내입으로 들어가는 건 아까워~~ ㅠㅠ
1.대형마트 과일가격 현황
- 사과 10개 한 묶음 : 26,096원 (전년 동월 대비 31.7% 증가)
- 감귤 10개 한 묶음 : 5,763원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
*2024년 2월 4주차 <자료:농산물유통 종합정보시스템>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한달만에 3퍼센트대로 복귀했다. 월급은 그대로인 것 같은데 왜 물가는 매일 오르는 느낌일까?ㅎㅎ
물가 상승률이 높아진 건 과일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된 탓이 크다. 또한 국제유가도 한 몫함!
지난달 사과, 귤, 토마토, 딸기 등 신선 과실의 가격 상승폭이 32년 5개월만에(91년 9월 이후) 최고치 상승폭을 기록했다고 한다.
해서, 요즘 상대적으로 싸보이는 수입과일들이 많이 들어온다고 한다.
지난 2월 한달간 수입과일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50%나 증가했다는 사실. 국산과일은 오히려 10%가 감소했다. (그런데 나는 국산 과일이 먹고 싶은데 우짜노..)
2. 과일금값, 농심품부 대책은?
안타깝게도 과일값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정부도 대체 과일 수입을 확대하고 봄 제철 과일이 풀리면서 사과 수요가 둔화는 것 외에는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고 본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가 가격이 많이 오른 과일, 채소를 중심으로 할인과 더불어,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함으로써, 유통업체 판매가격과 소비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3,4월 사과 대파 등 가격 많이 오른 품목 대상으로 204억원을 투입해 납품단가 인하를 지원하고, 할인 지원에도 무려 230억원을 투입한다.
여러 매체에서 확인한 결과 대형마트 등에서는 정부지원이 반영된 가격으로 이미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또 자체적으로 할인을 하는 경우도 있다.
- 홈플러스 : 오는 13일까지 할인행사
- 이마트 : 농식품부 20%할인을 진행
3. 국산과일이 비싸다면, 수입하면 어떨까?
정부는 사과, 배 등을 비롯한 과일 가격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보고 있다. 이에 수입과일에 대해 유통업체 수요량을 파악해 할당관세 물량을 배분하기로 했다고 한다.
다만, 문제는....할당관세 적용해도 사실 과일 수입이 잘 안되고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일단, 사과와 배, 복숭아 등을 포함한 8개 작물의 경우 해충이 들어올까봐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해서, 이렇게 가격을 오를 때는 수입금지를 풀어야 하는것에 대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현재 일본을 비롯한 11개국이 한국에 과일 등을 수출하기 위해 이미 검역을 신청한 상황이라고 한다.
그런데 산넘어 산!!!
한국에 과일을 수출하려면 무려 총 8단계를 통과해야 하며 현재 일본이 유일하게 5단계가지 와있는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의하면, 농산물 수입 절차는 전세계 공통이며, 뉴질랜드로 우리 감귤을 수출하는데도 무려 27년이 걸렸다고 한다.
4. 국산 제철 과일, 어디서 살까? 고향사랑기부제 추천
내가 살고 있는 지자체 외에 다른 지자체에 기부하는 제도이다. 기부금액의 30%에 대해 답례품을 받을 수 있고, 10만원까지는 세액 공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10만원 기부시 10만원 세엑공제(10만원 그대로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음) 받고 30% 답례품도 받을 수 있는것!
그 답례품중에 제철식품들이 꽤 많다!!
이전에 내가 올린 아래 글과 다음 이미지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연말정산] 꼭 챙겨야 할 항목들 (안경, 장애인보장구, 산후조리원, 장애인증명서, 해외교육, 월세), 고향사랑기부제 (tistory.com)
[연말정산] 꼭 챙겨야 할 항목들 (안경, 장애인보장구, 산후조리원, 장애인증명서, 해외교육, 월
1. 연말정산을 쉽게 풀어 설명하면! 일 년간 내가 낸 세금을 올바르게 정산하는 절차다. 23년 소득이 대상이다. 매월 세금을 떼고 받는데, 1년 동안 전체 계산했을 때 세금과 비교하여, 덜 내면 더
okseeyouagain.tistory.com
![](https://blog.kakaocdn.net/dn/bQdCoz/btsFDVy23GP/xENP7W05kNH5xUvrVYFHh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LvkH0/btsFFRh8eq6/7mtLqN8qdhiMvOHMp8HkAK/img.png)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고시] 애드센스 광고 승인 합격 후기(1번 불합격 후 합격) (78) | 2024.03.07 |
---|---|
[아기 통장, 주식계좌] 준비물, 바우처발급방법(우리은행,신한은행,키움증권) (9) | 2024.03.05 |
세뱃돈 어떻게 할까!? 주식투자!? 펀드가입!? (0) | 2024.02.23 |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 (0) | 2024.02.17 |
[전세대출 갈아타기] 방법 및 조건 (네이버페이로 직접해본 후기)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