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12 [전세대출 갈아타기] 방법 및 조건 (네이버페이로 직접해본 후기) 금융위원회가 1월 31일부터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시작된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나도 올 초 전세대출을 받은 만큼 바로 자세한 사항을 알아봤다. 1. 어떤 대출을 갈아탈 수 있을까? 아파트뿐 아니라 오피스텔, 빌라, 단독주택 등 모든 주택에 대한 보증부 전세자금대출*을 보다 낮은 금리의 신규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 한국주택금융공사(HF), 주택도시보증공사(HUG), SGI서울보증의 보증서를 담보로 한 대출로서 임대차계약서상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한 대출 전세대출의 경우, 금융회사 간 과도하고 빈번한 대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전세대출을 받은 지 3개월이 경과하여야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전세대출 보증기관의 보증상품 취급 기준 등.. 2024. 1. 31. [연말정산] 취업한 배우자의 무직 기간 지출에 대한 연말정산, 홈텍스 온라인 문의 배우자 무직 기간 공제 관련 홈택스 문의 배경 올해 1월 연말정산을 하면서, 남편이 지난해 취업 전 무직이었던 기간에 사용한 신용카드 등과 관련해 홈택스에 문의를 남겼다. 관련 답변을 기록 및 공유 차원에서 붙여 넣기 하였다. 아쉽게도 적용받지 못한다는 답변이었으나, 명쾌하게 국세청에서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했다. ^^ 홈텍스에 이렇게 온라인 상담 서비스가 있어서 굉장히 편리하다. 아래 답변에는 신속한 답변 주지 못한 것에 대해 양해 부탁드린다고 하였으나, 사실은 바로 다음날 답변 달아주신 거라, 빠르다고 생각했다. 배우자 무직 기간 공제 관련 홈텍스 문의 및 답변 [문의] 안녕하세요. 경정청구 기간에 아래 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남편은 23년 1월부터 6월까지 무직이었고, 7월부터 현재까.. 2024. 1. 30. 3분만에 금리인하요구권 신청 완료 후기 은행을 방문하신 아버님께서 보내주신 위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문을 보고, 바로 '금리인하요구권'을 검색해 보았다. 금리인하요구권은 대출자나 카드 회원 등이 자신의 신용상태가 개선되었을 때 은행이나 카드사 등에 대출금리나 카드 이자율을 인하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금리인하요구권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출금 상환이 완료되어 대출 잔액이 줄어들었을 때, 대출자의 신용등급이 상승했을 때, 대출자의 소득이 증가하여 대출 상환 능력이 향상되었을 때 등이 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대출자나 카드 회원 등의 신용상태가 개선되었을 때, 은행이나 카드사 등에 대출금리나 카드 이자율을 인하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를 통해 대출자나 카드 회원 등은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대출자나 카.. 2024. 1. 25. [연말정산] 교육비 세액공제, 어린이집 보육료납입증명서 발급 후기 1. 교육비 세액공제란? 근로자가 본인을 포함, 배우자, 직계비속 등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해 교육비 지급 시, 그 금액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빼주는 것. 구분 세액공제 대상금액 근로자 본인 전액(대학원교육비,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수강료 포함) *학자금 대출 원리금 상환액도 포함. 대학 졸업후 대출금이 남았다면 이를 통해 세금 공제 받을 수 있음. 기본공제대상자(배우자 직계비속 형제자매 및 입양자) 1)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 초/중/고생 *단, 1명단 연 300만원 한도 적용 2) 대학생 : 1명당 연 900만원 한도 적용 * 소득이 없는 자녀가 대학생이라면 인적 공제 대상에서 제외. 그러나 그 자녀의 대학교 학비는 교육비 공제 가능 3) 대학원생 : 공제 대상 X 장애인 특수.. 2024. 1. 23. [연말정산] 연금저축 가입 고민_결론은!? 1) 1인 가구라면 챙겨야 할 연말정산 1이 가구는 아무래도 연말정산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인적공제도 없고, 다인가구에 비해 지출이 적으니 신용카드 소득공제도 적다. 해서 주거 관련 혜택을 꼭 챙겨야 한다. 1) 월세를 산다면? 월세세액 공제를 꼭 챙겨야 한다. 월세액의 17%인 월세 세액공제 * 월세액 세액공제는 총급여액에 따라 공제율이 다르다. * 집주인의 동의나 확정일자가 공제의 필수조건은 아니다. 하지만, 임대차계약서상 주소지와 주민등록표등본 주소지가 동일해야 공제가 가능하기에 전입신고를 해두어야 한다. 하지만 집주인이 월세공제에 따라 세금을 내는 만큼 월세를 더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만약 집주인의 눈치가 보여 거주기간 동안 신청하기 껄끄럽다면, 퇴거 후 5년 안에만 경정신청하.. 2024. 1. 2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