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2024뷰티헬스트렌드_2024마케팅트렌드 (#유산균#마이크로바이옴#네이버웹툰광고모델)

by 씨야 2024. 3. 12.
728x90
반응형

내가 관심 있어 하는 뷰티/헬스/마케팅 트렌드 관련해, 주목할 만한 소식들을 본 트렌드 카테고리에 시간 날 때마다 올려보려고 한다. 오늘이 소식은!?

1. 화장품에 홍삼, 유산균을!? 

식품기업들이 규모 확장을 위해 뷰티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이미 뷰티 시장은 포화 상태임에도, 식품기업들이 뷰티 산업에 도전하는이유는 뭘까?
 
바로 자체 개발한 독보적 원료 기술력을 토대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어서다. 
 
KGC 인삼공사 : 지난달 미국에서 선보인 비건 뷰티 브랜드 '랩 1899'를 이달 국내 출시한다. 랩 1899는 1899년부터 시작된 홍삼 연구를 토대로 홍삼 추출액을 첨가한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국내 유산균기업 hy : hy도 지난해 화장품 사업에 진출했다. 화장품 신제품은 부스팅 앰픅과 안티에이징 크림 2종으로, 기존 판매한 자체 개발 유산균을 활용했다. 
 
식품기업의 축적된 연구기술을 토대로, 화장품 제조에 활용함으로써, 또 다른 전문성을 갖춘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다. 
 
한편, 뷰티업계는 "마이크로바이옴"개발에 꽂혔다는 기사도 눈에 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로, 체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이나 유전정보를 뜻하는 말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피부 전반에 효능을 가진 것으로 이미 연구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우리 몸의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제2의 장기'라고도 물린다고 하는 놀라운 사실. 
 
그렇다면 왜 이제서야 뷰티업계가 '마이크로바이옴'에 주목하는지 그것이 더 의아한 상황이다. 
 
여하튼,  CJ올리브영에 따르면 스킨케어 브랜드 바이오힐 보는 화장품 ODM기업인 한국콜마와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협력 및 공동 마케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이 밖에도 동일한 ODM 기업인 코스맥스는 지난달 5일 바이오 소재 연구개발 연합체닌 '코스맥스 BF'를 발족, 생물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초격차 기술력 확보에 나선다고 한다. 
 

2. 네이버 인기 웹툰 캐릭터가 광고 캠페인 모델이 된다?

네이버가 네이버웹툰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광고(DA) 상품 '원화컷 활용 DA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밝혔다. 
 
'원화컷 활용 DA 패키지'는 브랜드사가 협업 희망하는 네이버웹툰 작품의 IP를 광고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이다. 
 
본 신규 상품은 네이버웹툰 작품의 대중성과 인지도가 확대되며 윕툰 외의 채널에서도 IP를 활용하려고 하는 브랜드사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웹툰과 네이버 서비스 양측 채널 모두를 아우를 수 있도록 기획됐다. 
 
웹툰 작품이 드라마, 영화화 되어 더 많은 소비자들과 만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는 요즘. 네이버 웹툰 캐릭터들이 인지도를 바탕으로 사용자들로부터 얼마만큼의 반응을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특히, AI 모델, 가상 모델이 많아지는 요즘. 이제 웹툰 캐릭터 모델까지 등장한다고 하니, 사람을 대체할 영역이 무한대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씁쓸하기도 하고 예측하지 못하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까지 밀려온다.

다만,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연예인 모델료를 생각하면, 어찌 보면 높은 모델료를 지불하지 않고 최적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면, 광고 분야에서 당연한 수순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반응형